고용24 통합플랫폼 개편과 AI 서비스 도입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고용서비스 통합플랫폼 '고용24' 개통 1주년을 맞아 화면을 전면 개편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을 통해 국민과 기업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오는 9월에는 AI 기반의 맞춤형 구인·구직 서비스 4종을 도입할 예정이다. 

이는 고용 생애주기별로 구직자 및 기업의 요구를 반영하여 나아가고자 하는 목표를 갖고 있다.

고용24 통합플랫폼의 혁신적 개편

고용24 통합플랫폼은 지난 1년 동안 개인회원 1170만 명과 기업회원 50만 개를 기록하며 급격한 성장세를 이어왔다. 이러한 이용 데이터와 국민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화면을 혁신적으로 개편했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이용자가 능동적으로 원하는 서비스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고안된 메인화면이다.


메인화면은 고용 생애주기에 따라 '취업준비·실직·경력전환→구직→훈련→재직·휴직→은퇴'으로 구성되어 사용자 친화적인 접근성을 제공한다. 이렇게 구성된 서비스는 자주 찾는 정보들을 중앙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더욱 직관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해준다. 이와 함께 불필요한 정보는 최소화하여 화면 구성의 간결함을 이루었다.


특히, 114개의 고용정책 지원제도를 아이콘과 핵심 키워드로 재구성하여 가독성을 높였다. 이러한 노력은 복잡한 메뉴 구성과 정보 과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개선 사항으로, 고용24 플랫폼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어주고 있다. 화면의 디자인 또한 파스텔 색상을 사용하여 시각적인 쾌적함을 제공함으로써, 처음 방문하는 사용자들이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AI 서비스 도입으로 가시화된 맞춤형 지원

오는 9월에는 AI를 기반으로 한 구인·구직 맞춤형 서비스 4종이 고용24에 도입될 예정이다. 이는 사용자의 채용 및 구직 활동에서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키고, 일자리 매칭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AI 서비스는 실시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AI 서비스는 구인기업과 구직자를 효과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 더 많은 사람들이 적합한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일자리 매칭의 정확성이 높아짐에 따라, 구직자와 기업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한국의 고용 시장을 더욱 활성화시키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으려는 사람들에게 큰 도움을 줄 것이다.


한편, 이러한 AI 기반 서비스 도입은 고용24 플랫폼의 전반적인 성능 개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정부의 고용 정책이 실질적으로 국민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다. AI의 정확한 데이터 분석과 예측 기능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보다 쉽게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정교한 UI/UX 개선으로 사용자 편의성 향상

이번 개편에서는 사용자 경험(UI/UX)의 개선에도 많은 노력이 기울여졌다. 기존의 복잡한 화면과 딱딱한 느낌을 탈피하고, 사용자에게 친숙한 느낌을 줄 수 있는 파스텔 계열의 밝은 색상으로 디자인을 변모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사용자가 좀 더 쾌적하게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전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에도 혁신을 가져왔다.


화면에 마우스를 올리면 크기가 커지고 세부 정보가 보이는 효과를 통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였다. 이런 동적 효과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원활히 찾을 수 있게 도와준다. 조정숙 고용지원정책관은 이러한 변화를 통해 보다 많은 국민이 취업 지원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고,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 전달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고용24 플랫폼이 보여주는 성장은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고용 서비스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며, 국민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는 체계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앞으로도 이러한 변화를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질 높은 고용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이번 고용24 통합플랫폼 개편은 이용자의 편리함을 최우선시한 결정으로 볼 수 있다. AI 서비스 도입과 사용자 경험 혁신은 향후 고용 시장에서의 변화를 예상케 하며, 더 나은 일자리 매칭과 취업 지원의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도 고용24 플랫폼의 지속적인 발전과 혁신을 지켜봐야 할 것이다.

다음 이전